맨위로가기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초대 교회 시대부터 존재하며, 현재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그 계승을 주장하는 직함이다. 성 베드로가 안티오키아 교회를 설립하고 초대 주교가 되었으며, 4세기까지 동부 터키, 레바논, 이스라엘 등 광범위한 지역을 관할하며 기독교 학문의 중심지였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그리스도론 논쟁으로 인해 안티오키아 교회는 분열되었고,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 마론파 교회, 시리아 가톨릭 교회 등 여러 교회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계승을 주장하며 각기 다른 전례 양식과 총대주교좌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튀르키예의 기독교 -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초기 기독교 중심지 안티오키아에서 융합된 기독교 전통을 잇는 교회로, '룸' 또는 '멜키트'라고도 불리며 서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에 22개 대교구를 두고 있지만, 시리아 내전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베드로
    베드로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예수로부터 "케파스"라는 이름을 받았으며, 어부 출신으로 예수의 부름을 받아 제자가 되어 사역과 초기 기독교 공동체 형성에 기여했고, 수난 과정에서 예수를 부인한 후 회개하였으며, 오순절 설교와 이방인 전도를 통해 기독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사모사타의 파울로스
    사모사타의 파울로스는 3세기 안티오크 주교로, 군주신론적 가르침과 교회 내 부패 혐의로 이단으로 정죄되었으며, 삼위일체 교리와 상반되는 주장을 펼치고 아리우스파에 영향을 미쳤다.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개요
관할총대주교
관할권기독교
설립34년 (창립)451년 (총대주교 칭호 부여)
초대 총대주교성 베드로
전례서시리아 전례, 비잔티움 전례
교단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가톨릭 교회 (동방 가톨릭 교회)
자치 교회멜키트, 마론파, 시리아 가톨릭

2. 역사

2. 1. 초기 기독교 시대

성 베드로는 안티오키아 교회를 설립하고 초대 주교가 되었다.[2] 사도행전에 따르면 안티오크 교회는 "기독교인"으로 불린 최초의 교회였다.[1]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이 도시의 세 번째 주교이자 저명한 사도 교부였다.[1] 4세기까지 안티오크의 주교는 오늘날 동부 터키, 레바논,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시리아, 요르단, 이라크, 이란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에서 가장 선임 주교가 되었으며, 당시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기독교인을 섬겼다.

안티오크 교회는 알렉산드리아 다음으로 기독교 학문의 중심지였다.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그리스도론을 가진 알렉산드리아, 로마, 콘스탄티노폴리스와는 대조적으로, 안티오크 신학은 랍비 유대교서아시아의 다른 일신교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단일하고 초월적인 신성한 본질(οὐσίαgrc)을 강조했다.

2. 2. 칼케돈 공의회 분열 (451년)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발생한 그리스도론 논쟁은 안티오키아 교회를 둘로 나누는 결과를 초래했다.[4] 공의회를 수용한 측과 거부한 측은 총대주교 자리를 두고 오랫동안 갈등했다. 512년, 비(非) 칼케돈파는 시돈에서 시노드를 열어 플라비아누스 2세를 총대주교직에서 물러나게 하고 세베루스를 새로운 총대주교로 추대했다.[4] 안티오키아의 세베루스를 중심으로 한 비 칼케돈파는 시리아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부)를 형성하고, 자체적으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를 임명하기 시작했다.[4]

반면, 칼케돈파는 세베루스의 임명을 인정하지 않고 플라비아누스 2세를 계속 총대주교로 인정하며, 518년부터는 비잔틴(''룸'')의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로 알려지게 되었다.[4] 중세 시대에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 의존하면서 비잔틴 전례를 사용하기 시작했다.[4]

단성론과 같은 내부 분열과 7세기 말부터 시작된 이슬람 정복으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의 권위는 약화되었다.[5] 비잔틴과 아랍 무슬림 권력으로부터 독립적인 것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양측 모두에 의해 점령당하면서 ''사실상'' 권력은 쇠퇴했다.[5] 또한, 안티오키아는 4세기와 6세기에 걸쳐 여러 차례의 지진을 겪었고, 6세기에는 조로아스터교를 믿는 페르시아인에게, 7세기에는 무슬림 아랍인에게 정복당하는 등 반(反) 기독교적 정복을 겪었다. 969년에 비잔틴 제국에 의해 도시가 회복될 수 있었다.[5]

2. 3. 이슬람 세력의 확장과 십자군 전쟁

2. 4. 마론파 분열 (685년)

4세기 은둔자 성 마론을 따르는 아람어 사용 신자들은 칼케돈 공의회의 조건을 받아들였지만, 12세기까지 교황청과의 교류를 확립하기 전까지 단의설을 고수했다. 이는 무슬림의 팽창 이후 광범위한 교회와의 소통이 불가능해져 로마와의 소통이 재개되기 전까지 이단을 가려낼 수 없었기 때문이다.[6][7] 마론파는 초기에 아랍인과의 투쟁에서 비잔틴 제국과 함께 싸웠지만, 685년에 그들 스스로 총대주교인 마론 성 요한을 임명했고, 그는 마론파 교회의 초대 총대주교가 되었다. 총대주교 임명은 비잔틴 황제를 격분시켰고, 이는 비잔틴인들의 마론파 박해로 이어졌으며, 그 결과 그들은 레바논 산악 지역으로 후퇴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 위임 통치 때까지 그곳에 계속 거주하게 되었다.

2. 5. 동서 교회 분열 (1054년)

동서 교회는 오랜 세월 동안 성찬례에 무교병 사용, 니케아 신조에 필리오케 추가[5] 등 여러 차이점을 보였다. 교황 세르지오 4세에 의해 니케아 신경에 성령가 추가된 사건은 이러한 분열의 주요 원인이었다. 1054년, 움베르토 디 실바 칸디다 추기경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미카엘 1세 케룰라리오스를 파문했고, 이에 케룰라리오스는 움베르토 추기경을 상호 파문하고 디튁에서 그의 이름을 삭제함으로써 대응했다.[5] 이 사건으로 기독교는 가톨릭교회동방 정교회로 분열되었다.[5]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페트루스 3세는 교황 레오 9세에게 서신을 보내 자신의 임명 소식을 알리고 신앙 고백을 요청했다.[5] 케룰라리오스가 1054년에 라틴 교회를 파문했을 때, 페트루스 3세에게도 이 사실을 알렸다. 페트루스 3세는 라틴인들을 형제라고 생각했지만, 그들의 사고방식은 오류에 취약하며, 야만인으로서 정통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면제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5] 이는 당시 많은 사람들이 1054년의 사건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5]

2. 6. 멜키트 교회 분열 (1724년)

1724년, 키릴 6세 타나스가 안티오키아 그리스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에게 친 로마 성향으로 여겨졌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그의 선출을 인정하지 않고 다른 총대주교를 대신 임명했다. 많은 멜키트 신자들이 키릴의 총대주교 지위를 계속 인정하여, 1724년부터 안티오키아 그리스 교회는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와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로 분열되었다. 1729년,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키릴을 안티오키아 동방 가톨릭 총대주교로 인정하고 그와 그의 추종자들을 가톨릭 교회와 완전한 친교를 이루도록 받아들였다.

3. 현재의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오늘날 다섯 개의 교회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라는 칭호를 사용하고 있다.[10] 이들은 사도 계승을 통해 안티오키아 관할권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각자의 전례 양식과 총대주교좌 위치를 가지고 있다.

교회소속 교단전례 양식총대주교좌 위치현 총대주교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시리아 정교회서 시리아 전례시리아 다마스쿠스이그나티우스 아프렘 2세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동방 정교회)비잔틴 전례시리아 다마스쿠스안티오키아의 요한 10세[11]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시리아 가톨릭교회 (동방 전례 가톨릭 교회)서 시리아 전례레바논 베이루트이그나티우스 요셉 3세 요난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마론파 교회 (동방 전례 가톨릭 교회)서 시리아 전례레바논 브케르케베샤라 부트로스 라히
안티오키아, 알렉산드리아 그리고 예루살렘의 총대주교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동방 전례 가톨릭 교회)비잔틴 전례시리아 다마스쿠스유세프 압시



이들 교회 외에 과거 안티오키아 공국 시절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안티오키아 라틴 총대주교직이 존재했었다. 십자군이 1268년 맘루크에 의해 추방된 후, 교황은 명목 주교인 안티오키아 라틴 총대주교를 계속 임명했으며, 그의 실제 관할구는 로마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당이었다. 마지막 총대주교는 1953년에 사망한 로베르토 비센티니였고, 이 직책은 1964년에 폐지되었다.

4. 주교 계승

사도 베드로로부터 현재의 총대주교까지 이어지는 주교 계승은 여러 교회의 역사적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518년, 685년, 1724년, 1783년의 분기점을 통해 오늘날 다섯 개의 교회가 각기 다른 계승을 주장하게 되었다.


  • 518년, 세베루스가 칼케돈 공의회를 거부하고 유스티누스 1세에 의해 유대인 바울로 대체되면서, 세베루스를 따르는 측과 바울을 따르는 측으로 분열되었다.[12] 세베루스의 후계자들은 시리아 교회들에서, 바울의 후계자들은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멜키트 교회, 마론파 교회에서 인정받았다.
  • 685년, 마론의 요한이 마라디트 군대에 의해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로 선출되면서, 마론파 교회가 형성되어 독자적인 총대주교 계승을 시작했다. 비잔틴은 안티오키아의 테오파네스를 임명하여 세 명의 경쟁자가 나타났다.
  • 1724년, 키릴 6세 타나스가 가톨릭 교회와의 친교를 지지하며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으나, 에큐메니칼 총대주교는 안티오키아의 실베스터를 임명하여,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는 키릴 계열을,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는 실베스터 계열을 따르게 되었다.
  • 1783년,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맺은 이그나티우스 마이클 3세 자르웨와 이를 거부한 이그나티우스 매튜로 분열되어, 시리아 정교회는 이그나티우스 매튜 계열을, 시리아 가톨릭 교회는 이그나티우스 마이클 계열을 인정하게 되었다.


각 교회가 인정하는 계승은 다음과 같다.

교회계승
시리아 정교회사도 베드로 → 세베루스 → 텔라의 세르기우스 → 세르기우스의 후계자들 → 이그나티우스 조지 4세 → 이그나티우스 매튜 → 이그나티우스 매튜의 후계자들 → 이그나티우스 아프렘 2세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사도 베드로 → 세베루스 → 유대인 바울[12] → 유대인 바울의 후계자들 → 아타나시우스 3세 다바스 → 안티오키아의 실베스터 → 실베스터의 후계자들 → 요한 10세
마론파 교회사도 베드로 → 세베루스 → 유대인 바울 → 유대인 바울의 후계자들 → 안티오키아의 테오파네스 → 마론의 요한 → 요한의 후계자들 → 베차라 부트로스 알-라히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사도 베드로 → 세베루스 → 유대인 바울 → 유대인 바울의 후계자들 → 피터 3세 → 키릴 6세 타나스 → 키릴 6세의 후계자들 → 유세프 압시
시리아 가톨릭 교회사도 베드로 → 세베루스 → 이그나티우스 마이클 3세 자르웨 → 이그나티우스 마이클 3세의 후계자들 → 이그나티우스 조셉 3세 요난


5.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37년부터 518년까지의 총대주교 목록을 제공한다. 512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분열에 따라 여러 교파에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직을 주장하고 있다.

시리아 정교회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512년부터 현재까지의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 목록을, 시리아 가톨릭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1662년부터 현재까지의 시리아 가톨릭교회 총대주교 목록을 보여준다. 그리스 정교회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518년부터 현재까지의 그리스 정교회 총대주교 목록을, 멜키트 가톨릭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1724년부터 현재까지의 멜키트 가톨릭교회 총대주교 목록을 제공한다. 마론파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686년부터 현재까지의 마론파 총대주교 목록을, 라틴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목록은 1098년부터 1964년까지의 라틴 총대주교 목록을 보여준다.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성경 Acts 11:26
[2] 웹사이트 Peter, in the Catholic Encyclopedia 1913 http://www.newadvent[...]
[3] 서적 The Apostles of Jesus Christ: Thirteen Men Who Turned the World Upside-Down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0
[4] 서적 The Orthodox Eastern Church https://books.google[...] 2009-05-17
[5] 서적 Latin and Greek Monasticism in the Crusader St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0-22
[6] 간행물 William of Tyre and the Maronites https://www.jstor.or[...] 1955
[7] 웹사이트 Maronite church https://www.britanni[...]
[8] 서적 The First Crusad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Melchites
[10] 서적 Eastern Christianity in the Modern Middle Eas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9-12-16
[11] 웹사이트 Greek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antiochpatri[...]
[12] 서적 Eighteen Centuries of the Orthodox Greek Church https://books.google[...] James Parker 18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